JavaScript 12

[혼공스] 05-1. 함수의 기본 형태

들어가며 함수를 사용하는 것을 함수 호출, 즉 '함수를 호출하다'고 표현. 함수를 호출할 때는 괄호 내부에 여러 가지 자료를 넣는데, 이러한 자료를 매개변수라고 부른다. 그리고 함수를 호출해서 최종적으로 나오는 결과를 리턴값이라고 부른다. 익명 함수 함수는 코드의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며,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다. function () { } 함수를 코드의 집합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중괄호 {...} 내부에 코드를 넣기 때문 => 함수를 실행하면 여러 코드를 한 번에 묶어서 실행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함수를 사용하면 좋은 점 ? 반복되는 코드를 한 번만 정의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므로 반복 작업을 피할 수 있다. 긴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나눠 여러 함수로 ..

JavaScript 2022.10.01

JavaScript 기본(1)

🚩 Goal: Javascript의 기초 문법을 이해할 수 있고, 동기 비동기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다. 🐤 JavaScript의 자료형과 JavaScript만의 특성은 무엇일까 ?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의 문제점은 무엇이고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보세요. 'JavaScript의 변수는 어떤 특정 타입과 연결되지 않으며, 모든 타입의 값으로 할당 (및 재할당) 가능하다.' 동적 언어 (Dynamically Typed Language) 런타임에 비로소 타입이 결정되는 언어입니다. 소스가 컴파일, 빌드될 때 자료형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실행할 때 결정됩니다. 언어 자체에서..

JavaScript 2022.09.23